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산업보안론 - 산업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계약서 작성법 1. 계약서의 목적 명확화와 정의 조항 설정 산업기술 보호를 위한 계약서는 단순한 근로계약서나 NDA(비밀유지계약서)와는 달리, 보호 대상, 범위, 의무, 처벌 규정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계약의 목적과 기술 개념의 정의다.많은 계약서에서 ‘기밀정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이 개념이 모호하면 법적 분쟁 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회사의 기술자료”라고만 명시하면, 어떤 파일이 기술자료에 해당하는지 해석의 여지가 생긴다. 따라서 계약서에는 “설계도, 회로도, 연구데이터, 알고리즘, 시제품 사양서 등 일체의 기술문서”처럼 구체적 항목을 명시해야 한다.또한 “직접, 간접적으로 취득한 기술”, “업무 중 또는 업무 외의 시간에 알게 된 정보” 등 유출의 경로를 광범위하게 .. 2025. 4. 25.
산업보안론 - 기업 보안담당자가 알아야 할 문서보안 1. 문서보안의 기본: 자산으로 보는 시각 전환 많은 기업이 정보보안을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중심으로 이해하지만, 실제 정보 유출의 시작점은 하나의 문서 파일일 때가 많다. 특히 산업설계도, 제품기획안, 내부보고서 등은 경쟁사에 유출될 경우 직접적인 매출 손실, 법적 분쟁, 이미지 타격으로 이어진다.따라서 기업 내 문서는 단순한 자료가 아닌 ‘자산’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에 걸맞은 보호체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보안담당자는 먼저 기업 내 어떤 문서가 ‘중요 정보’인지 분류 및 등급화하는 작업부터 시작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밀’, ‘사내용’, ‘외부공개가능’ 등으로 나누고, 등급별로 보안정책을 차등 적용하는 방식이다.또한 문서의 라이프사이클(작성-수정-공유-보관-폐기) 전 과정에 걸쳐 보안 정.. 2025. 4. 24.
산업보안론 - 보안전문가가 알아야 할 산업보안 (위협유형, 기술분석, 현장사례) 1. 산업보안 위협 유형: 무엇이 다를까? 산업보안에서의 위협은 일반적인 사이버보안 위협과 다르게 물리적 영향까지 미칠 수 있는 실체적 결과를 유발한다. 대표적인 위협 유형은 다음과 같다.내부자 유출: 산업기술의 대다수는 내부자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며, 이직, 퇴사, 협력업체를 통한 유출이 빈번하다. 단순 해킹보다 탐지와 증명이 어려운 유형이다.APT 공격: 특정 산업 분야를 타깃으로 장기간 침투하는 공격으로, 지능형 악성코드, 스피어 피싱, 공급망 공격 등이 사용된다. 방산, 반도체, 에너지 산업에서 자주 발생한다.OT(운영기술) 공격: SCADA, PLC, HMI 등 산업제어시스템에 대한 공격으로, 설비 마비나 생산 중단 등 물리적 피해가 동반된다.사이버-물리 융합공격: IoT, AI, 로봇 등이 결.. 2025. 4. 24.
산업보안론 - 중소기업을 위한 실전 산업보안 매뉴얼 1. 내부자 보안: 직원 보안 인식이 핵심이다 중소기업 보안 위협의 상당수는 외부 해커보다 내부자에 의한 실수 혹은 고의적인 유출로 발생한다. 하지만 많은 기업은 내부 직원에 대한 보안 교육이나 통제 체계를 소홀히 한다. 실제로 사내에서 USB로 데이터를 옮기거나, 클라우드에 무단 업로드하는 등의 행위는 자주 발생한다.이를 막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보안 인식 개선이다. 전 직원 대상 보안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출입 관리, 이메일 첨부파일 제한, 모바일 기기 보안 점검 등의 기본적인 물리·정보보안 조치를 일상 업무 속에 통합시켜야 한다. 특히 퇴사 직전의 직원이 민감한 정보를 무단 복사하거나 클라우드로 전송하는 사례도 많기 때문에, 퇴사 프로세스에는 ‘정보회수 점검 체크리스트’를 포함시키.. 2025.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