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보안론 - 산업보안 인증제도 종류와 취득 전략
1. 국내 산업보안 관련 인증제도 총정리 한국에는 산업보안과 관련된 다양한 인증제도가 존재하며, 주로 정보보호, 기술보호, 제품 보안성 검증 등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ISMS-P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정보통신망법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일정 기준 이상 사업자는 ISMS-P 인증이 의무다. 이는 산업보안의 기초 프레임워크로, 정보보호 정책, 위험 관리, 외주 관리, 기술적 보호조치를 포함한다. 기술자료, 고객정보, 생산데이터를 다루는 기업에 필수적이다.K-ISMS (정보보호 관리체계)개인정보 항목이 빠진 형태로, 중소기업이나 기술 중심 기업에 적합하다. 심사 항목이 상대적으로 간결하지만, 기술 유출 방지 및 보안관리의 기반이 된다.산업기술보호 수준확인제도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산업기술보..
2025. 5. 8.
산업보안론 - 산업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계약서 작성법
1. 계약서의 목적 명확화와 정의 조항 설정 산업기술 보호를 위한 계약서는 단순한 근로계약서나 NDA(비밀유지계약서)와는 달리, 보호 대상, 범위, 의무, 처벌 규정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계약의 목적과 기술 개념의 정의다.많은 계약서에서 ‘기밀정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이 개념이 모호하면 법적 분쟁 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회사의 기술자료”라고만 명시하면, 어떤 파일이 기술자료에 해당하는지 해석의 여지가 생긴다. 따라서 계약서에는 “설계도, 회로도, 연구데이터, 알고리즘, 시제품 사양서 등 일체의 기술문서”처럼 구체적 항목을 명시해야 한다.또한 “직접, 간접적으로 취득한 기술”, “업무 중 또는 업무 외의 시간에 알게 된 정보” 등 유출의 경로를 광범위하게 ..
2025. 4. 25.
산업보안론 - 보안전문가가 알아야 할 산업보안 (위협유형, 기술분석, 현장사례)
1. 산업보안 위협 유형: 무엇이 다를까? 산업보안에서의 위협은 일반적인 사이버보안 위협과 다르게 물리적 영향까지 미칠 수 있는 실체적 결과를 유발한다. 대표적인 위협 유형은 다음과 같다.내부자 유출: 산업기술의 대다수는 내부자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며, 이직, 퇴사, 협력업체를 통한 유출이 빈번하다. 단순 해킹보다 탐지와 증명이 어려운 유형이다.APT 공격: 특정 산업 분야를 타깃으로 장기간 침투하는 공격으로, 지능형 악성코드, 스피어 피싱, 공급망 공격 등이 사용된다. 방산, 반도체, 에너지 산업에서 자주 발생한다.OT(운영기술) 공격: SCADA, PLC, HMI 등 산업제어시스템에 대한 공격으로, 설비 마비나 생산 중단 등 물리적 피해가 동반된다.사이버-물리 융합공격: IoT, AI, 로봇 등이 결..
2025. 4. 24.